간단한 구조의 위키 스킨. 도다가 운영하는 위키를 위해 고안되었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른 요소들이 부각되지 않게 디자인 된 것이 특징이다.
플랫폼
각 플랫폼마다 언어와 레이아웃, 사소한 스타일이 모두 틀리다. 개인 취향이 시시각각 바뀌는 관계로 만들 때 마음에 드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반영해서 그렇다.
미디어위키 버전
초기 버전. ‘리브레 위키’에서 사용하는 ‘Liberty’ 스킨을 사용하다, 진부함을 느낀 운영자가 디자인과 구조를 설계하기 시작해 약 14일 가량의 작업 끝에 완성되었다.
미디어위키 스킨에서 Less 컴파일을 지원하기에, CSS Preprocessor로 Less를 채택했다. 미디어위키에서 Mustache 템플릿 엔진을 지원하지만, 배우기 번거롭다는 이유로 PHP 파일을 이용한 템플릿을 나누어 구현되었다.
openNAMU 버전
미디어위키 버전을 기반으로 openNAMU에 포팅한 버전. 특이점이라면 React + Vite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다만 프로덕션 위키에서는 openNAMU를 사용하지 않았기에 선보여진 적은 없다.
openNAMU의 SSR 변수들을 JSON으로 받아 React에서 사용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openNAMU에서는 React 빌드를 지원하지 않기에 직접 빌드하여 스킨 폴더에 적용해야 한다.
스타일을 위해 CSS-in-JS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emotion을 사용했다.
Notion 위키 버전
자체 개발한 Notion 기반 위키에서 사용 중인 버전. openNAMU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했던 DodaVista의 소스를 일부 참고하여 만들어졌다. 다른 버전에 비교했을 때 헤더와 푸터의 디자인이 크게 변경됐는데, 개발자 취향이 좀 반영됐다.
스타일을 위해 CSS-in-JS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는데, (링크 불러오는 중...)를 사용했다. 이 역시도 요즘 개발자가 Compiled CSS-in-JS 라이브러리에 관심이 많아서 그렇다.
다른 플랫폼들을 사용할 때에 비해 다크 모드를 구현하기 쉬웠으나, 정작 이 버전에만 현재 다크 모드가 없다. Panda CSS가 다크 모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아서 귀찮은 관계로 제외했다.